중국 AI 기업 딥시크(DeepSeek)의 혁신적인 AI모델 출시로 인해 글로벌 반도체 및 AI 관련 주식이 급락을 하게 되었습니다. 엔비디아. ARM홀딩스, 마이크론, ASML홀딩스, 브로드컴, 마이크로소프트 등 주요 굴지의 글로벌 AI 및 반도체 관련 기업 주식이 급작스런 하락이 있었는데요, 이러한 주가 하락의 주요 원인은 딥시크가 엔비디아의 첨단 반도체 없이도 비용에서 효율적인 AI 모델을 구축했기 때문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딥시크와 관련된 내용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딥시크 (DeepSeek)는 무슨 회사?
DeepSeek는 중국의 AI회사로 2023년 항저우에서 설립되었습니다. 설립자는 량원펑이라는 인물로 그는 2016년 AI기반 금융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High-Flyer이라는 헤지펀드를 공동 설립한 인물입니다. High-Flyer에서 시작된 연구실이 딥시크라는 독립적인 AI회사로 성장을 하였습니다.
회사는 2024년 5월 DeepSeek-V2라는 AI모델을 출시하였는데, 높은 성능을 제공하면서도 비용이 낮아 중국 AI 기업 간 가격 경쟁을 불러왔습니다.
이후 DeepSeek-V3라는 최신모델이 나왔으며 속도와 성능이 크게 향상되어 오픈소스 모델 리더보드에서 1위를 차지하기도 햇습니다.
2025년 1월 회사의 AI 어시스턴트가 미국 애플 앱스토어에서 ChatGPT를 제치고 무료 앱 부문 1위에 오른 바가 있습니다.
이 서비스의 영향력? 파급효과는?
딥시크는 기존 AI모델보다 적은 데이터와 저렴함 칩으로 경쟁력 있는 AI를 만들어서 전세계 AI 시장에 큰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엔비디아를 비롯해 글로벌 유수 빅테크 기업들의 경쟁우위가 예산보다 견고하지 않다는 점이 이번에 드러나게 되었고, 이는 투자자들의 우려로 이어져서 주식의 급락으로 연결된 것입니다. 특히 엔비디아의 경우 딥시크의 등장으로 인해 고객들이 기존 칩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게 됨에 따라 신규 수요가 둔화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즉 AI칩 시장에서 엔비디아의 독점적 지위에 위협이 될 수 있습니다.
딥시크의 기술혁신
딥시크의 주요 기술혁신은 아래와 같습니다.
1. 멀티에드 잠재 어텐션(MLA, Multi-head LAtent Attention)
- 텍스트에서 중요한 세부사항을 반복적으로 추출하여 텍스트 분석능력을 강화합니다.
- 기존 모델 대비 메모리 사용량을 5~13% 수준으로 대폭 감소시켰습니다.
2. DeepSeekMoE (Sparse Mixture of Experts)
- 계산비용을 절감하여 더욱 효율적인 AI 모델을 구현합니다.
- 필요 시 특정 모델만 활성화하여 계산 효율성을 높입니다.
3. 멀티토큰 예측 MTP, Multi-token Prediction)
- 한 번에 여러 토큰을 생성하여 추론 속도를 크게 향상시켰습니다.
- 모델의 응답 시간을 줄이고 실시간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한 성능을 제공합니다.
4. 강화학습기반 자기학습능력
- 모델이 스스로 학습하고 개선할 수 있는 능력을 강화했습니다.
- R1-제로 모델은 지도학습(SFT)을 생략하고도 높은 성능을 달성했습니다.
이러한 기술 혁신을 통해 딥시크는 성능과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켰으며, 특히 비용 대비 효율성 측면에서 큰 진전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딥시크 V2 모델은 1백만 토큰당 1위안의 낮은 비용으로 운영될 수 있습니다. 또한. R1모델의 추론 비용은 OpenAI o1 모델 대비 90~95% 정도 저렴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맺음말
딥시크의 오픈 소스 전략은 AI업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기업들이 고비용 라이선스 없이도 고급 AI모델을 활용할 수가 있게 될 것이며, 기존 AI제공업체에 대한 의존도가 낮아질 것입니다. 아울로 오픈 소스를 통해 다은 기업들이 딥시크의 기술을 바탕으로 자체 제품을 개발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AI 기술의 전반적인 발전속도가 빨라지게 되고, 저비용 고효율 모델개발이 가능해져서 AI기술의 접근성이 더욱더 향상될 것입니다. 이상입니다. 감사합니다.
'IT 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플(Apple)과 스페이스X(Space X) 협력, 스타링크 제공 (1) | 2025.01.29 |
---|---|
리드 호프만, AI 신약개발 사업 진출, Manas AI (0) | 2025.01.29 |
아이폰 17 출시 유출, 소문, 예상, 대규모 업데이트 (0) | 2025.01.27 |
엔비디아 RTX 5000 시리즈, 새로운 게이밍 그래픽카드 출시 (1) | 2025.01.26 |
안두릴(Anduril), 10억달러 자율무기 공장 건설 발표 (0) | 2025.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