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미국 대법원, 틱톡 금지 유지 tiktok

by Cleanfount 2025. 1. 18.

 

 

미국 연방대법원이 틱톡 금지법의 합헌성을 인정했습니다. 대법원은 만장일치로 틱톡의 가처분 신청을 기각하며, 국가 안보 우려가 표현의 자유 제한보다 중요하다고 판단했습니다.

썸네일 틱톡금지유지

 

주요내용

  • 법률내용: 중국 모기업 바이트 댄스가 2025년 1월 19일까지 미국 내 틱톡 사업권을 매각하지 않으면 서비스를 금지합니다.
  • 영향: 법이 시행되면 신규 사용자의 앱 다운로드가 불가능해지고, 기존 사용자도 업데이트를 받지 못해 결국 서비스 이용이 불가능해질 전망입니다.
  • 대법원판단: 틱톡의 데이터 수집 관행과 외국의 관계로 인한 국가 안보 우려가 1억 7000만 미국 사용자의 표현의 자유보다 우선한다고 결정했습니다.
  • 트럼프 입장: 20일 취임 예정인 트럼프 당선인은 법 시행 여부가 자신에게 달렸다며, 서비스 유지 가능성을 시사했습니다.

이 결정으로 틱톡의 미국 내 서비스 중단이 임박했지만, 트럼프 당선인의 최종결정에 따라 상황이 바뀔 수 있습니다.

 

 

틱톡 매각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 신규사용자 제한: 법이 시행되면 새로운 사용자들은 앱을 다운로드할 수 없게 됩니다.
  • 기존 사용자 영향: 현재 틱톡을 사용 중인 1억 7천만 미국사용자들도 업데이트를 받지 못해 결국 사용 불가능해지게 될 것입니다.
  • 소송가능성: 바이트댄스가 강제 매각을 막기 위해 소송을 제기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대법원까지 갈 수 있어 실제 금지까지는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 외교적 갈등: 틱톡 금지로 인해 미국과 중국 간의 외교적 마찰이 더욱 격화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 경제적 영향: 틱톡의 시장가치가 약 1000억 달러(140조원)로 추산되는 만큼, 매각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큰 경제적 손실이 예상됩니다.

 

그러면 대체 플랫폼이 어떤 게 사용되는가?

 

[중국기반 앱]

샤오홍슈(레드노트): 최근 미국 앱스토어 상위권에 오르며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레몬 8(Lemon8): 바이트댄스가 운영하는 이미지 기반 소셜 미디어 앱입니다.

 

[비중국산 앱]

클래퍼(Clapper): 최근 140만 명의 신규 사용자를 확보했습니다.

플립(Flip): 쇼핑중심의 짧은 동영상 플랫폼으로 급격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기존 플랫폼]

인스타그램 릴스: 일부 사용자들은 정부가 인스타그램 릴스 사용을 강요한다고 느끼기고 합니다. 

 

*중국 기반 앱들인 샤오홍슈와 레몬8도 '외국 적성국 통제 앱' 법률의 영향을 받을 수 있어 지속 가능성에 의문이 제기됩니다. 따라서, 클래퍼, 플립과 같은 비 중국산 앱들이 틱톡의 주요 대체 플랫폼으로 자리잡을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맺음말

틱톡이 어떻게 될지 재미있게 지켜보면 되겠네요. 왠지 중국산 앱을 쓰는 게 조금 꺼리기는 했기는 합니다만, 거대 유행 플랫폼이라 파장이 어떻게 될지 궁금하기는 합니다. 클래퍼나 플립의 향후 비전도 잘 지켜봐야 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